logo
"노동자계급의 해방은 노동자계급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 칼 마르크스
현장
 

공항 노동자들의 총파업


  • 2025-10-02
  • 45 회


3.jpg


{이 글을 작성한 후인 10월 1일(수요일), 인천·김포 등 전국 15개 공항 노동자들은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다.(편집자 주)}


9월 19일,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 전국 공항 노동자들이 총파업대회를 열었다. 청소·시설정비·경비·보안·운영 등을 담당하는 전국 15개 공항 자회사 소속 노동자들이 한목소리를 낸 것이다. 이들은 4조 2교대 전환, 노동시간 단축 및 인력 충원, 모·자회사 간 불공정 계약 근절, 낙찰률 임의 적용 폐지, 인건비 환수 결원정산 폐지 등을 요구하고 있다.


2018년 문재인 정부 당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정책의 결과로 공항 노동자들은 자회사 소속이 됐지만, 열악한 노동환경은 나아지지 않았다. 연속 야간노동을 없애겠다던 4조 2교대 전환은 실현되지 않았고, 인천공항이 4단계 확장으로 면적이 두 배 가까이 늘었는데도 인력 충원은커녕 감축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자회사에 낙찰률(위탁업무 예정가격 대비 낙찰가격의 비율) 92%를 강요하며 저임금 구조를 고착화하고, 결원이 생기면 인건비를 환수하는 ‘결원정산’ 제도로 노동자를 쥐어짜고 있다. 공항 자회사의 존재 이유가 명분상으로는 정규직 전환으로 고용 안정과 처우 개선이다. 하지만 자회사란 실제로는 노동자를 쥐어짜 비용을 절감하고 적은 인력으로 더 많은 일을 시키는 합법적 하청 구조에 불과하다. 


이런 구조에서 공항은 이용객에게도 노동자에게도 안전하지 않다. 지난해 12월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올해 1월 인천공항 제2터미널 대한항공 여객기 사고, 김해공항 항공기 화재, 그리고 3월 인천공항에서 발생한 29세 청년 노동자의 죽음. 연이은 사고와 비극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인력 부족과 장시간 야간노동에 내몰린 노동환경은 곧 안전의 붕괴로 이어진다.


그런데도 보안·시설·운영 업무를 담당하는 다수 자회사 노동자들은 ‘필수유지업무’로 묶여 파업권조차 제한받고 있다. 이는 공항을 실제로 움직이게 하는 노동자들을 열악한 조건 속에 방치한 채, 오직 공항 자본가의 이윤만을 우선시하는 구조적 모순을 보여준다.


이번 파업은 공항의 안전과 공공성을 지키고, 노동자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것이다. “공항 사측의 이윤을 줄여 노동자의 임금을 올리고, 인력을 충원해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게 해달라”고 요구하는 파업은 정당할 뿐 아니라 필연적이다.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인력을 충원하며, 모·자회사 구조를 바로잡을 힘은 노동자들의 투쟁에 있다.


월간 정치신문 <노동자투쟁>(서울) 70호, 2025년 9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