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트나 식당에 가면 물가가 계속 오르는 걸 느낄 수 있다. 수치를 낮게 계산하는 정부 통계를 보더라도 작년 11월, 12월, 올해 1월까지 소비자 물가가 매달 올랐고, 1년 전보다는 2.2% 올랐다. 이마저도 지난 3년간 물가가 많이 오른 상황에서 상승세가 둔화된 것뿐이다. 노동자의 삶에 필수적인 식비, 교통비 등의 인상폭은 더 심각하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5.9%로 올랐고, 수도권 지하철 요금은 작년(150원, 12%)에 이어 다음 달에도 150원(10.7%) 더 인상될 예정이다. 반면 노동자의 월급은 제자리인데, 물가 인상을 반영한 실질임금은 2022년(-0.2%), 2023년(-1.1%)에 이어 2024년 상반기에도 0.4% 하락했다.
물가인상은 단순히 통계수치상의 변화가 아니라 임금이 삭감되는 것이다. 올해 임금으로 살 수 있는 게 작년보다 더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는 식탁 위의 음식도 줄고, 친구나 가족과의 여가 생활이나 여행도 줄어드는 걸 의미한다. 즉 노동자의 생활 수준이 전반적으로 하락한다.
물가는 소위 ‘전문가’들이 말하듯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코로나 바이러스, 해외 원자잿값 상승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오른 게 아니다. 더 중요한 건 기업들이 자신의 이윤을 늘리기 위해 최대한 빠르게, 많이 가격을 올린다는 것이다. 반면 뻔뻔하게도 원유나 기타 원자재 가격이 하락해도 한 번 올린 가격은 거의 내리지 않는다. 최근 라면 등 식품업체들은 1년에 두 번씩 가격을 올리며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다.
누가 이들의 이윤욕을 통제할 수 있을까? 국힘당이든 민주당이든 이들은 기업과 특권층의 이익을 대변하는 정당이기에 기업을 통제할 조치도, 노동자를 위한 대책도 내놓지 않을 것이다. 늘 그랬듯 양당의 정치인과 기업은 공공요금과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도 노동자의 임금 인상은 최대한 억누를 것이다.
결국 노동자 계급은 우리 자신의 이익을 위해 스스로 임금 인상 투쟁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 노동자들은 이 사회의 모든 부를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생산을 멈춰 자본가들에게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킬 힘을 갖고 있으며, 실제로 그 힘을 사용할 수 있다.
월간 정치신문 <노동자투쟁>(서울) 63호, 2025년 2월 23일